월급, 최저시급, 주휴수당 2022 최저임금,

안녕하세요 재택이 재인입니다날씨가 점점 추워지네요.슬슬 연봉협상 시기도 다가오고 있겠죠?저희 회사도 이제 돌아가면서 협상시간을 조율하고 있는 중입니다.

1년 중 가장 떨리는 시기이기도 한 것 같아요제 노동에 대한 가치를 회사가 얼마나 높게 평가해 줄지에 대한 신경전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협상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2022 최저임금, 시급, 월급, 주휴수당까지 이와 관련된 것을 한 번에 정리해 봅니다.

이웃분들이 조금이라도 손해보면 안 되니까 꼼꼼히 팩트 체크해서 알려드릴게요

2022의 최저임금(시급)은 60원입니다.

2016년 6,030원, 2017년 6,470원, 2018년 7,530원, 2019년 8,350원, 2020년 8,590원, 2021년 8,720원으로 올해는 9천원이 넘는 시급이 탄생하였습니다.

전년도에 비해 5.1% 인상했습니다.

이게너무높다라고생각하시는분들도있었는데요,작년에는코로나로인해서자영업자분들이너무힘들다라는의견이반영되어서거의동결이나 다름없는1.5%인상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마 이 부분이 반영이 되어서 올해는 조금 더 높게 책정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2022 최저시급이 상당히 높다고 또 경영계에서는 불만이 나오고 있는데 이것이 물가 상승과 상당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물가는 올랐는데 노동의 가치는 떨어지면 노동자의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또 한번의 경제위기가 오는 구조라고 본다면 어느 정도의 상생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 2022 최저임금 월급편을 보겠습니다시급이 9,160원이고, 유급 주휴 수당을 포함해 월 209시간 노동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1,914,440원을 월수입이 됩니다.

만약 연장 노동 또는 시간외를 하는 경우, 이것에 1.5배 추가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1시간 당 13,740원을 기준으로 해 받습니다.

이걸 바탕으로 정리하자면, 내년도 연봉은 20,647,800원으로, 약 2000만원을 시작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2의 최저임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4대 보험률을 올해로 적용했고 소득세의 일정 부분을 감안하면 약 1,720,650원을 실수령자로 받게 됩니다.

또 한가지 기억해야할 것은 이 금액을 주휴수당 포함 월 209시간 이상 근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아르바이트를 해도 월 172만원 이상은 받는 것이 법에 의해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언제부터 적용되는 걸까요?

2022 최저임금은 2018년 1월 1일부터 시작되며, 업종에 관계없이 모든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수준이상을반드시지켜야하고이를법적으로강제함으로써저임금근로자를보호하는데목적이므로어느사업장도예외는아님을기억하십시오.

다만, 동거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 및 가사사용인, 선원법에 따라 선원 및 선원을 사용하는 선박의 소유자는 제외됩니다.

그러면 2022 주휴수당은 얼마 정도 될까요?벌써 내년 최저임금 월급에 다 포함됐는데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따로 얘기해 볼게요.

본인이 1주일의 근로시간을 40으로 나누어 8시간을 곱한 후 시급 9,160원을 걸면 되는데, 만약 주 35시간 일하는 근로자라면 주휴수당 64,120원을 받게 됩니다.

이것은 일주일 동안의 소정근로일수를 만족했을 때 주마다 받게 되고, 넷째가 태어났는데 매달로 환산하면 256,480원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2022개의 최저임금과 월급, 주휴수당, 연봉 실수령액까지 알아봤습니다.

제가 분명히 포스팅을 올리면 이렇게 시급 올리면 자영업자들이 손해보고 누가 하냐고 분명히 얘기하는 댓글이 있을 텐데 그러면 뭐 때문에 제 글을 읽는지 모르실 거예요.

물론 부담스러운 게 분명하죠.하지만그렇다고급등하는물가를만보고절약하며사는근로자들의삶이지속되면사회,경제가건전하게회복될까요?한번 생각해 볼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글도 많이 쓰는 편이지만, 「무통보」를 삭제합니다」정치적인 선동, 정치색 있는 코멘트는, 제 글을 읽는 다른 분들의 불쾌감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생각해 보면 코로나 이후 우리 사회는 좀 더 각박해지고 필요 이상으로 민감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직은 노동자, 사용자, 사회, 경제는 모두 한 바퀴 돌겠다는 생각입니다.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가지고 서로 배려하면서 사회적 약자는 보호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으면 합니다.